“집앞서 맨날 살인마 얘기”…英 ‘잭 더 리퍼 투어’에 주민 반발

최강주 기자2025-06-26 08:54:00

19세기 영국 런던의 연쇄살인범 ‘잭 더 리퍼’를 소재로 한 관광 투어가 상업적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현지 주민과 전문가들은 피해자를 조롱하는 비윤리적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19세기 런던을 공포에 몰아넣은 연쇄살인범 ‘잭 더 리퍼(Jack the Ripper)’를 소재로 한 관광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실제 범죄를 오락 거리로 소비한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21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런던 동부 이스트엔드에서 운영 중인 ‘잭 더 리퍼 투어’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밤 8시가 되면 과거 사건이 발생했던 미터 스퀘어(Mitre Square)에는 수백 명의 관광객이 몰려든다.


밤마다 열리는 ‘살인 투어’…주민들 ‘극심한 불쾌감’

19세기 영국 런던의 연쇄살인범 ‘잭 더 리퍼’를 소재로 한 관광 투어가 상업적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현지 주민과 전문가들은 피해자를 조롱하는 비윤리적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이 투어는 약 90분 동안 잭 더 리퍼가 활동했던 범죄 현장을 도보로 돌며 사건 해설을 듣는 야간 프로그램이다. 테마는 ‘19세기 런던의 공포와 어둠’으로, 매일 같은 시간과 경로로 운영된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한 주민은 “우리 집 창문 앞에서 ‘이곳에서 배를 가르고 장기를 꺼냈다’는 가이드 설명을 밤마다 듣는다”며 “아이를 키우는 환경으로선 매우 부적절하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주민은 “리퍼는 성 착취 피해자들을 살해한 인물인데, 이를 흥밋거리로 소비하는 건 2차 가해나 다름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웃고 떠드는 살인 현장”…현장의 기이한 풍경

19세기 영국 런던의 연쇄살인범 ‘잭 더 리퍼’를 소재로 한 관광 투어가 상업적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현지 주민과 전문가들은 피해자를 조롱하는 비윤리적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관광객이 몰리면서 가이드들 간 경쟁도 격화됐다. 특정 장소를 먼저 확보하기 위해 실랑이와 몸싸움이 벌어지는 일도 있다.

설명 방식 역시 선정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피해자 중심 해설’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리퍼에 초점을 맞춘 연출이 주를 이룬다. 

19세기 영국 런던의 연쇄살인범 ‘잭 더 리퍼’를 소재로 한 관광 투어가 상업적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현지 주민과 전문가들은 피해자를 조롱하는 비윤리적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일부 가이드는 실제 피해자 시신 사진을 보여주거나, 영화 ‘사이코’의 배경음악을 틀며 긴장감을 유도한다. 심지어 가짜 칼을 들고 관광객을 놀래키는 퍼포먼스도 등장했다.

지역 주민들은 “이것이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성 착취 피해자를 상품처럼 다루는 행위”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살인자 브랜드’로 뒤덮인 동네

19세기 영국 런던의 연쇄살인범 ‘잭 더 리퍼’를 소재로 한 관광 투어가 상업적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현지 주민과 전문가들은 피해자를 조롱하는 비윤리적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리퍼가 활동했던 런던 동부 이스트엔드에는 그 이름을 차용한 상호들이 넘쳐난다.

이발소 ‘잭 더 클리퍼’, 패스트푸드점 ‘잭 더 치퍼’, 패션 매장 ‘잭스 플레이스’ 등이다. 한때는 감자 요리를 판매하는 가게가 ‘재킷 더 리퍼’라는 이름을 달기도 했다.

필립 스톤 영국 센트럴랭커셔대 교수는 “잭 더 리퍼는 실제 범죄자인데도, 시간이 흐르며 하나의 대중문화 아이콘처럼 소비되고 있다”며 “현실과 허구의 경계가 희미해진 위험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여성 박물관’이라더니… 실상은 ‘살인범 전시장’

19세기 영국 런던의 연쇄살인범 ‘잭 더 리퍼’를 소재로 한 관광 투어가 상업적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현지 주민과 전문가들은 피해자를 조롱하는 비윤리적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2015년 개관한 ‘잭 더 리퍼 박물관’ 역시 논란의 중심에 있다. 본래는 ‘이스트엔드 여성의 삶과 역사’를 기리는 공간으로 승인됐지만, 실제 전시는 리퍼 사건 중심으로 구성됐다.

박물관 측은 “살인을 미화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기념품점에서는 리퍼 모양 인형과 살인자의 실루엣이 그려진 티셔츠 등이 판매되고 있다.

이에 지역 여성 단체들은 결국 ‘이스트엔드 여성 박물관’이 따로 설립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잭 더 리퍼 투어는 피해자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범죄자를 중심으로 한 소비 콘텐츠가 됐다”며 “역사를 기록한다는 명분 아래 폭력을 소비하고 있다. 박물관이 아닌 전시된 폭력이다”고 비판했다.

최강주 기자 gamja822@donga.com

카톡에서 소다 채널 추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