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이 다가온다. 그런데 아직 해야할 일은 산더미라면? 그럴 때 저는 유튜브에서 조용히 '노동요'를 검색합니다. 귀찮고 질리는 반복작업을 할 때 빠른 비트의 노동요를 들으면 둠칫둠칫하는 노래에 맞춰 나도 모르게 사자에게 쫓기는 초식동물의 심정으로 작업하게 되거든요. 하지만 마음 급해지는 노동요를 들으면 가끔 더 불안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여기, 빠르지도 않고 위기감도 느껴지지 않는 신기한 노동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들을수록 이상하게 일이 잘 된단 말이죠. 저만의 노동요, 'lo-fi' 음악을 소개합니다.
여기, 빠르지도 않고 위기감도 느껴지지 않는 신기한 노동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들을수록 이상하게 일이 잘 된단 말이죠. 저만의 노동요, 'lo-fi' 음악을 소개합니다.
lo-fi, 정체가 뭐냐
lo-fi는 고음질을 뜻하는 high fidelity의 약자인 hi-fi의 반대 개념을 지칭합니다. LP나 카세트테이프로 음악을 듣던 시절의 열화된 질감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lo-fi를 듣기 거북할 정도의 저음질의 음악으로 생각하면 큰 오산인데요, lo-fi는 의도적으로 아날로그 감성을 가미하여 듣기 편안한 음악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에 따라 호불호의 차이는 있지만 카페 소음이나 파도 소리, 나뭇가지가 바람에 스치는 소리 등 일상의 백색소음은 집중을 도와주고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지지직 거리는 노이즈나 LP의 미세한 소음, 빗소리 등 투박한 옛 감성을 전달하는 lo-fi 역시 백색 소음과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겠죠. 점점 더 '최고'를 요구하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lo-fi는 우리의 지친 귀를 편안하게 합니다.
사람에 따라 호불호의 차이는 있지만 카페 소음이나 파도 소리, 나뭇가지가 바람에 스치는 소리 등 일상의 백색소음은 집중을 도와주고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지지직 거리는 노이즈나 LP의 미세한 소음, 빗소리 등 투박한 옛 감성을 전달하는 lo-fi 역시 백색 소음과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겠죠. 점점 더 '최고'를 요구하는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lo-fi는 우리의 지친 귀를 편안하게 합니다.
일할 때 듣는 lo-fi, 소개합니다
일반적인 상업 음악의 흐름과 다른 lo-fi는 힙합과 재즈에서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듣기 편안한 음악을 위해 래핑 없이 차분한 비트, 잔잔한 피아노 멜로디가 주로 사용됩니다. 아직은 대중적이지 않기 때문에 유튜브나 사운드클라우드 등 SNS에서 믹싱 작업을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는 접근성도 뛰어나고 긴 길이의 영상도 쉽게 업로드할 수 있어 다양한 lo-fi 모음 영상이 꾸준히 업로드 되는 편인데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8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풍 그림을 배경으로 까는 것이 전 세계 lo-fi 음악가 사이의 불문율인 듯 합니다. 제가 작업할 때 자주 듣는 lo-fi 음악을 소개합니다.
특히 유튜브는 접근성도 뛰어나고 긴 길이의 영상도 쉽게 업로드할 수 있어 다양한 lo-fi 모음 영상이 꾸준히 업로드 되는 편인데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8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풍 그림을 배경으로 까는 것이 전 세계 lo-fi 음악가 사이의 불문율인 듯 합니다. 제가 작업할 때 자주 듣는 lo-fi 음악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