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뒤 모국어 대신 영어 술술…실제 있는 증상이라고?

조유경 기자polaris27@donga.com2025-03-26 20:00:00

Chat GPT가 생성한 이미지.
최근 미국 과학 전문 매체 라이브 사이언스(Live Science)는 네덜란드에 사는 17세 소년이 축구를 하던 중 부상을 입어 무릎 수술을 받았는데, 모국어가 아닌 영어를 사용하게 된 사례 하나를 소개했다.
매체에 따르면, 소년은 수술 후 마취에서 깨어난 직후부터 영어로만 대화했으며, 자신이 미국에 살고 있다고 주장했다. 모국어인 네덜란드어는 전혀 이해하지 못했고, 심지어 부모조차 알아보지 못했다. 그는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살아 본 적이 없고, 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기는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신과 담당의는 그가 네덜란드어 억양이 섞인 영어로 답하거나, 네덜란드어로 짧은 대답은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의료진은 외국어 증후군(FLS·Foreign Language Syndrome)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환자가 비자발적으로 모국어 대신 외국어를 사용하게 되는 희귀한 증상으로, 일정 기간 지속될 수 있다.
큰 우려와는 다르게, 이 소년은 차츰차츰 모국어를 이해하고 말하기 시작했다. 그는 수술한 지 18시간이 지나자, 네덜란드어를 이해하기 시작했고 수술 다음 날 친구들이 병문안을 왔을 때는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모국어를 완벽히 말할 수 있게 된 그는 수술한 지 3일 만에 퇴원하게 됐다.
전문가들은 외국어 증후군이 매우 드문 사례라고 했다. 진단을 받은 이들 대부분은 어린이이며, 백인 남성인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마취 후 후유증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유경 기자 polaris27@dong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