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말 아침. 천재지변 외에는 그 무엇도 나를 깨울 수 없다!”
주말에 몰아 자면 오히려 안 좋다, 일요일에 늦잠을 자면 밤에 잠이 안 와 월요일 아침에 고생한다… ‘일찍 일어나는 새’들이 아무리 근면성실한 생활방식을 권유하더라도 늦잠꾸러기들은 쉽게 일어날 생각이 없습니다.
침대와 한 몸이 되겠다는 굳은 각오로 해가 중천에 뜰 때까지 늦잠을 자는 주말 잠꾸러기들의 마음에 쏙 들 만 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최근 스웨덴-미국 연구팀이 수면연구 학술지(Journal of Sleep Research)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주말에 충분한 숙면을 취하면 조기 사망 위험성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13년에 걸쳐 3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연구팀은 충분한 수면시간(하루 7시간)을 늘 규칙적으로 유지하는 사람들을 기준으로 다양한 수면패턴 소유자들의 사례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평일 수면시간이 하루 5시간 이하이지만 주말에는 8시간 가량 푹 자는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기준집단에 비해 사망 위험이 높지 않았습니다.
반면 매일 5시간 이하로 잘 경우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일주일 내내 5시간 이하로 자며 만성 수면부족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매일 7시간씩 규칙적으로 자는 사람들에 비해 사망 위험도가 52% 높았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많이 자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일주일 내내 하루 9시간 이상 지나치게 오래 자는 경우에도 사망 위험이 25%가량 올라갔습니다.
논문 저자 중 한 명인 토비욘 아커스테드(Torbjörn Åkerstedt) 교수는 “성, 교육수준, 체질량지수, 심각한 지병 여부, 수면제 사용여부, 흡연여부, 음주량, 신체 활동 정도, 커피(카페인) 섭취량, 고용상태 등을 고려했다. 이번 연구는 수면시간과 사망률 간 관계를 다룬 이전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단 이전 연구들은 주로 주중(평일) 수면시간을 위주로 다룬 반면 이번 연구는 주말 숙면이 주중에 쌓인 수면부족을 만회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주중 수면시간이 짧더라도 주말에 충분히 잔다면 건강에 악영향이 가지 않는다는 결과는 주말이면 유독 게을러지는 사람들에게 좋은 핑계거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65세가 넘는 고령자들에게서는 이런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는데요. 아커스테드 교수는 “은퇴한 고령자들은 젊은이들에 비해 시간 여유가 많기 때문에 주중에도 비교적 자유롭게 수면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수면시간이 줄어드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도 한계는 있었습니다. 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분석했으나 설문지를 단 한 차례 받았기에 수면패턴 변화가 미치는 영향까지는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연구팀은 “사람의 수면패턴은 평생 계속해서 바뀌는데 이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만약 5년 간격으로 설문 참여자 개개인의 수면시간 변화를 조사했더라면 더 설득력 있는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 덧붙였습니다.
주말에 몰아 자면 오히려 안 좋다, 일요일에 늦잠을 자면 밤에 잠이 안 와 월요일 아침에 고생한다… ‘일찍 일어나는 새’들이 아무리 근면성실한 생활방식을 권유하더라도 늦잠꾸러기들은 쉽게 일어날 생각이 없습니다.
침대와 한 몸이 되겠다는 굳은 각오로 해가 중천에 뜰 때까지 늦잠을 자는 주말 잠꾸러기들의 마음에 쏙 들 만 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최근 스웨덴-미국 연구팀이 수면연구 학술지(Journal of Sleep Research)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주말에 충분한 숙면을 취하면 조기 사망 위험성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13년에 걸쳐 3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연구팀은 충분한 수면시간(하루 7시간)을 늘 규칙적으로 유지하는 사람들을 기준으로 다양한 수면패턴 소유자들의 사례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평일 수면시간이 하루 5시간 이하이지만 주말에는 8시간 가량 푹 자는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기준집단에 비해 사망 위험이 높지 않았습니다.
반면 매일 5시간 이하로 잘 경우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일주일 내내 5시간 이하로 자며 만성 수면부족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매일 7시간씩 규칙적으로 자는 사람들에 비해 사망 위험도가 52% 높았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많이 자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일주일 내내 하루 9시간 이상 지나치게 오래 자는 경우에도 사망 위험이 25%가량 올라갔습니다.
논문 저자 중 한 명인 토비욘 아커스테드(Torbjörn Åkerstedt) 교수는 “성, 교육수준, 체질량지수, 심각한 지병 여부, 수면제 사용여부, 흡연여부, 음주량, 신체 활동 정도, 커피(카페인) 섭취량, 고용상태 등을 고려했다. 이번 연구는 수면시간과 사망률 간 관계를 다룬 이전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단 이전 연구들은 주로 주중(평일) 수면시간을 위주로 다룬 반면 이번 연구는 주말 숙면이 주중에 쌓인 수면부족을 만회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주중 수면시간이 짧더라도 주말에 충분히 잔다면 건강에 악영향이 가지 않는다는 결과는 주말이면 유독 게을러지는 사람들에게 좋은 핑계거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65세가 넘는 고령자들에게서는 이런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는데요. 아커스테드 교수는 “은퇴한 고령자들은 젊은이들에 비해 시간 여유가 많기 때문에 주중에도 비교적 자유롭게 수면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수면시간이 줄어드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도 한계는 있었습니다. 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분석했으나 설문지를 단 한 차례 받았기에 수면패턴 변화가 미치는 영향까지는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연구팀은 “사람의 수면패턴은 평생 계속해서 바뀌는데 이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만약 5년 간격으로 설문 참여자 개개인의 수면시간 변화를 조사했더라면 더 설득력 있는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