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와이 과학자들이 조류 말라리아 확산을 막기 위해 드론으로 특수 수컷 모기를 살포하고 있다. 멸종 위기 꿀먹이새를 지키기 위한 실험적 생태 전략이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 모기 4000만 마리 살포… 드론 타고 퍼지는 ‘특수 수컷 모기
22일(현지시각) 복스(VOX)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구진은 2024년 말부터 하와이 마우이섬과 카우아이섬 일대에 수컷 모기를 대량 방사하고 있다. 지금까지 투입된 모기 수는 4000만 마리가 넘는다.
이들은 최근 대형 드론까지 동원해 고지대 숲처럼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까지 살포 범위를 넓히고 있다.
투입된 모기는 볼바키아(Wolbachia)라는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이다. 이 박테리아는 모기의 생식 기능을 방해해, 야생 암컷과 짝짓기하더라도 알이 부화되지 않게 만든다.
■ 멸종 위기 ’꿀먹이새‘ 지키기 위해…고지대에 남은 마지막 17종
이번 전략은 하와이 고유종인 ‘꿀먹이새’를 보호하기 위한 생태 보존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한때 50종 이상이 서식하던 꿀먹이새는 말라리아의 영향으로 급감해 현재는 17종만 남았고, 그마저도 모기가 살기 어려운 고지대에서 가까스로 생존하고 있다.
김수연 기자 xunnio41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