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티이미지뱅크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미국 과학연구소 스크립스 리서치, 호주 시드니대학교, 미 애리조나대학교 등 소속 국제 연구진은 중국 우한 화난(華南) 수산시장 내 동물 우리, 바닥 등 곳곳에서 2020년 1월∼3월 채취된 유전자 데이터에 대한 재분석을 실시했다.
당초 중국 과학계는 3년 전 해당 유전자 샘플을 분석했으나 올해 1월에야 국제 인플루엔자 정보공유기구(GISAID)에 관련 데이터를 공개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급히 삭제됐다. 하지만 데이터가 완전히 삭제되기 전 프랑스의 한 생물학자가 우연히 발견했고, 이를 국제 과학자 그룹과 공유하면서 재분석을 거치게 됐다.
분석 결과 해당 샘플에는 이 시장에서 판매됐던 너구리의 유전자가 상당량 섞여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것이 코로나19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결정적 해답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그간 유력한 코로나19의 숙주 동물로 꼽혔던 박쥐나 천산갑이 아닌 너구리가 그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아직 학술지 등에 공식 게재되지 않았으나 연구진은 세계보건기구(WHO) 내 ‘새로운 병원체의 기원 조사를 위한 과학 자문그룹’(SAGO)에 이 사실을 전달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 데이터는 3년 전 공유될 수 있었고, 공유됐어야 했다”면서 “우리는 중국이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필요한 조사를 수행하며 그 결과를 공유할 것을 계속해서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sykim4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