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29일 인천공항터미널에서 열린 일자리 우수기업방문에서의 기관총을 든 경호원의 모습. 사진=뉴스1, 청와대 제공
2015년 7월3일 광주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광주 유니버시아드대회 개막식에서의 기관총을 든 대통령 경호원의 모습. 사진=뉴스1, 청와대 제공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청와대가 '기관총 노출 경호 논란'에 "당연한 직무수행"이라고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노출 경호와 위장 경호를 구분 못한 청와대"라고 말했다.
하 최고위원은 3월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경호원 단순 구두 경고로 끝날 일을 큰 사건으로 확대시킨 옹졸함이 참으로 아쉽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저와 청와대 사이의 공방이 뜨거웠다. 이 논란에서 청와대는 경호전문가들의 지적을 무시하고 비상식적인 반론을 펴는 데만 급급했다"라고 덧붙였다.
하 최고위원은 "문제가 됐던 경호의 쟁점은 군중 속에 숨어서 경호 업무를 해야 하는 위장 경호원이 기관단총을 드러내는 실수를 범했는데도 청와대가 아무 잘못 없다고 단정한 것"이라며 "경호원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없는 사복차림의 사람이 기관단총 같은 총기를 들고 있는 것은 상식적인 면에서 볼 때도 그렇고, 경호 전문가들의 지적에 의거해서 보아도 대단히 부적절한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노출 경호는 무장 위력을 보임으로써 '사전 테러 예방'하는데 더 큰 목적이 있다. 노출 경호원들은 정복(제복이나 경호원 양복)에 노출 이어폰을 하고 있어서 경호원임을 바로 알 수 있다. 하지만 위장 경호는 다르다. 일반 시민처럼 사복을 입고 이어폰도 노출되지 않는다. 얼핏 보면 경호원인지 알 수 없다는 것. 위장 경호원은 시민들 속에 섞여서 경호를 담당해야 하기 때문에 무장을 노출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라고 말했다.
하 최고위원은 "문제가 된 칠성시장 경호원은 위장 경호 중에 무기를 노출함으로써 위장 임무에 실패한 것이고, 주변 시민들에게 불안감을 준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