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 오가는 직장인들 위한 사무공간으로 탈바꿈
전화 걸 동전을 찾으려 주머니를 뒤적이는 직장인, ‘삐삐’를 쥐고 공중전화 박스 앞에 줄 서서 차례를 기다리는 학생들. 1990년대까지만 해도 흔한 풍경이었지만 휴대전화가 보급되고 스마트폰 시대로 바뀌며 공중전화박스를 찾는 이들은 점차 사라졌습니다.
이웃 일본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하루에 한두 명 찾을까 말까 한 공중전화박스는 유지하자니 이용객이 없고 철거한 채 빈 자리로 두자니 공간이 아까웠습니다. 최근 일본 철도회사 JR동일본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 역 자투리 공간을 알차게 활용할 방법을 고민하다 전화박스 형태의 사무공간 ‘스테이션 부스’를 만들어 냈습니다.
IT매체 엔가젯(Engadget) 일본판에 따르면 스테이션 부스는 도쿄 역, 신주쿠 역, 시나가와 역 3곳에 최초로 설치되며 11월 28일부터 2019년 2월 20일까지 시범서비스를 실시합니다.
이웃 일본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하루에 한두 명 찾을까 말까 한 공중전화박스는 유지하자니 이용객이 없고 철거한 채 빈 자리로 두자니 공간이 아까웠습니다. 최근 일본 철도회사 JR동일본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 역 자투리 공간을 알차게 활용할 방법을 고민하다 전화박스 형태의 사무공간 ‘스테이션 부스’를 만들어 냈습니다.
IT매체 엔가젯(Engadget) 일본판에 따르면 스테이션 부스는 도쿄 역, 신주쿠 역, 시나가와 역 3곳에 최초로 설치되며 11월 28일부터 2019년 2월 20일까지 시범서비스를 실시합니다.
공중전화박스에서 착안한 스테이션 부스는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직장인들이 사무업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전원, 와이파이, USB케이블, 모니터 등의 설비를 갖췄습니다. 1인용 퍼스널 부스와 2인 이상용 비즈니스 부스로 나뉘어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스는 예약제로 운영되며 1회 15분 혹은 30분씩 지정해 예약 가능합니다. 추후 지하철 역사 내 빈 자리를 활용해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등 다양한 공간도 만들어갈 예정입니다.
JR동일본은 내년 상반기부터 ‘스테이션 워크’ 브랜드를 여러 역으로 확장하며 지하철·기차역과 사무공간 결합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페이스북 구독
JR동일본은 내년 상반기부터 ‘스테이션 워크’ 브랜드를 여러 역으로 확장하며 지하철·기차역과 사무공간 결합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