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불’을 경험한 직장인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벼룩시장구인구직이 직장인 10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58.6%가 임금체불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이 중 15.9%는 ‘현재도 임금체불 중’이라고 답했다.
임금이 밀린 기간은 평균 1.5개월. ‘월급 전액을 미지급’한 경우가 4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월급여 일부를 미지급’한 경우가 39.9%였고, ‘야근수당 및 특근수당 등 각종 수당’을 주지 않거나, ‘기타 식대 및 유류비’를 미지급한 경우가 각각 11.3%, 1.7%였다.
그렇다면 어떤 회사에서 임금체불이 많이 일어날까? 우려대로 중소기업(79.7%)가 가장 많았다. ‘중견기업’(16.6%), ‘대기업’(3.7%)과 비교할 때 압도적인 수준이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54.8%)이 비정규직(45.2%)에 비해 임금체불이 조금 더 많았다.
이들 응답자의 47.8%는 임금체불 시 대응 방법으로 ‘사장에게 직접 임금을 달라고 요구한다’고 답했지만, 26.2%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또한 ‘고용노동부 등 관련 기간 신고했다’(18.9%), ‘직원들과 함께 소송을 걸어 법적으로 대응했다’(5%) 등의 답변도 있었다.
체불된 임금에 대해서는 57.1%가 ‘전액 모두 받았다’고 답했으며 ‘일부만 받고 일부는 받지 못했다’(28.6%), ‘전혀 받지 못했다’(14.3%)는 이들도 있었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상당수는 퇴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64.5%가 임금체불로 인해 퇴사했다고 밝혔다. 그 중 32.5%는 임금체불 ‘3개월‘ 후 퇴사했으며, ‘2개월’(19.1%), ‘1개월’(18.0%)이 뒤를 이었다. ‘6개월 이상’ 장기간 버틴 후 퇴사를 한 직장인은 16%였다.
‘앞으로 임금체불을 경험하면 어떻게 하겠느냐’라는 질문에도 67.7% ‘퇴사를 준비한다’고 답했다. 이들은 ‘급여가 한번 밀리면 앞으로도 계속 밀릴 것 같아서’(49.7%), ‘당장 생계 유지가 힘들어서’(26.4%), ‘직장에 대한 비전이 보이지 않아서’(14.4%), ‘업무에 대한 의욕이 생기지 않아서’(8.6%) 등을 이유로 꼽았다.
반대로 ‘퇴사하지 않고 회사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한다’고 답한 32.3%는 ‘시간을 두고 상황을 파악한 뒤 이직할 예정’(36.7%), ‘어디든 어려운 상황은 마찬가지라서’(24.7%), ‘밀린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어서’(22.3%), ‘어려운 회사를 위해 더 열심히 일 해야겠다 생각해서’(12%) 등 이유로 퇴사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황지혜 동아닷컴 기자 hwangjh@donga.com
페이스북 구독
설문 결과 응답자의 58.6%가 임금체불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이 중 15.9%는 ‘현재도 임금체불 중’이라고 답했다.
임금이 밀린 기간은 평균 1.5개월. ‘월급 전액을 미지급’한 경우가 4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월급여 일부를 미지급’한 경우가 39.9%였고, ‘야근수당 및 특근수당 등 각종 수당’을 주지 않거나, ‘기타 식대 및 유류비’를 미지급한 경우가 각각 11.3%, 1.7%였다.
그렇다면 어떤 회사에서 임금체불이 많이 일어날까? 우려대로 중소기업(79.7%)가 가장 많았다. ‘중견기업’(16.6%), ‘대기업’(3.7%)과 비교할 때 압도적인 수준이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54.8%)이 비정규직(45.2%)에 비해 임금체불이 조금 더 많았다.
이들 응답자의 47.8%는 임금체불 시 대응 방법으로 ‘사장에게 직접 임금을 달라고 요구한다’고 답했지만, 26.2%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또한 ‘고용노동부 등 관련 기간 신고했다’(18.9%), ‘직원들과 함께 소송을 걸어 법적으로 대응했다’(5%) 등의 답변도 있었다.
체불된 임금에 대해서는 57.1%가 ‘전액 모두 받았다’고 답했으며 ‘일부만 받고 일부는 받지 못했다’(28.6%), ‘전혀 받지 못했다’(14.3%)는 이들도 있었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상당수는 퇴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64.5%가 임금체불로 인해 퇴사했다고 밝혔다. 그 중 32.5%는 임금체불 ‘3개월‘ 후 퇴사했으며, ‘2개월’(19.1%), ‘1개월’(18.0%)이 뒤를 이었다. ‘6개월 이상’ 장기간 버틴 후 퇴사를 한 직장인은 16%였다.
‘앞으로 임금체불을 경험하면 어떻게 하겠느냐’라는 질문에도 67.7% ‘퇴사를 준비한다’고 답했다. 이들은 ‘급여가 한번 밀리면 앞으로도 계속 밀릴 것 같아서’(49.7%), ‘당장 생계 유지가 힘들어서’(26.4%), ‘직장에 대한 비전이 보이지 않아서’(14.4%), ‘업무에 대한 의욕이 생기지 않아서’(8.6%) 등을 이유로 꼽았다.
반대로 ‘퇴사하지 않고 회사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한다’고 답한 32.3%는 ‘시간을 두고 상황을 파악한 뒤 이직할 예정’(36.7%), ‘어디든 어려운 상황은 마찬가지라서’(24.7%), ‘밀린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어서’(22.3%), ‘어려운 회사를 위해 더 열심히 일 해야겠다 생각해서’(12%) 등 이유로 퇴사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황지혜 동아닷컴 기자 hwangj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