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직장인이 예상하는 본인의 퇴직 연령은 평균 50.9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 직장인, 외국계기업 근무, IT직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자신의 퇴직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 직장인 547명을 대상으로 ‘체감 퇴직연령’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참여한 남녀 직장인들에게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몇 살까지 회사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가’라고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그리고 이를 응답자의 성별, 직급별, 근무기업 형태별, 직무별로 교차 분석해 봤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여성 직장인들보다 남성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퇴직 연령이 다소 길었다. 남성들은 51.7세, 여성들은 49.8세 즈음에 회사생활을 그만둘 것 같다고 예상했다.
직장인이 체감하는 본인의 퇴직 시기를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 분석해 보면, 공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퇴직연령이 평균 53.1세로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 51.3세, 중소기업 50.8세, 외국계기업 49.5세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 직장인, 외국계기업 근무, IT직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자신의 퇴직연령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 직장인 547명을 대상으로 ‘체감 퇴직연령’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참여한 남녀 직장인들에게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몇 살까지 회사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가’라고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그리고 이를 응답자의 성별, 직급별, 근무기업 형태별, 직무별로 교차 분석해 봤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여성 직장인들보다 남성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퇴직 연령이 다소 길었다. 남성들은 51.7세, 여성들은 49.8세 즈음에 회사생활을 그만둘 것 같다고 예상했다.
직장인이 체감하는 본인의 퇴직 시기를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 분석해 보면, 공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이 체감하고 있는 퇴직연령이 평균 53.1세로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 51.3세, 중소기업 50.8세, 외국계기업 49.5세 순으로 조사됐다.
직급별로는 회사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는 경우가 많은 과장급들이 예상하는 퇴직 시기가 타 직급에 비해 빨랐다. 사원급 52.2세, 대리급 52.3세, 과장급 50.2세, 차장급 50.9세, 부장·이사급 51.9세를 본인의 퇴직 시기로 예상했다.
직무별로는 생산·기술직 분야와 서비스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은 자신의 체감퇴직 연령을 각각 52.4세로 진단해 예상 퇴직 시기가 타 직무에 비해 가장 늦었다. 다음으로 전문직 52.3세, 인사·총무직 51.3세, 기획직 50.9세, 영업·영업관리직 49.5세, 마케팅·홍보직 49.4세, 재무·회계직 49.3세, 디자인직 48.1세, IT·정보통신직 48.9세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66.5%는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6.8%에 불과했다. 나머지 26.7%는 현재의 고용 불안감에 대해 ‘보통이다’라고 답했다.
또한 정년 때까지 자신의 고용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직장인들도 18.5%로 10명 중 2명에도 못 미쳤으며, 64.4%는 어느 정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페이스북 구독
직무별로는 생산·기술직 분야와 서비스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은 자신의 체감퇴직 연령을 각각 52.4세로 진단해 예상 퇴직 시기가 타 직무에 비해 가장 늦었다. 다음으로 전문직 52.3세, 인사·총무직 51.3세, 기획직 50.9세, 영업·영업관리직 49.5세, 마케팅·홍보직 49.4세, 재무·회계직 49.3세, 디자인직 48.1세, IT·정보통신직 48.9세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66.5%는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6.8%에 불과했다. 나머지 26.7%는 현재의 고용 불안감에 대해 ‘보통이다’라고 답했다.
또한 정년 때까지 자신의 고용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직장인들도 18.5%로 10명 중 2명에도 못 미쳤으며, 64.4%는 어느 정도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